한국의 미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의 미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의 미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Blog Article


또 고려엔 아들 선호 사상이 강하지 않아 조선시대에서 가장 큰 이혼의 명분인 칠거지악이 없었다. 고려시대 가계를 보면 자손없는 경우가 상당히 많았고 아들이 없더라도 굳이 입양하지 않았다. 남의 가축을 죽인 자는 노비로 삼거나, 빚을 갚지 못한 자는 그 자식을 노비로 만들어 변상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리고 중대한 범죄자가 있으면 제가가 모여서 논의하는 제가 회의를 통하여 처벌하였다.


이번 만큼은 꼭 대장경을 가까이서 보고 카메라에 담을 생각으로 집요하게 매달렸다. 어느 날 왕에게 바칠 고기를 개가 물어가자 주방장이 아이를 고기로 바쳤다. 왕이 고기를 좋아하자 주방장은 이후 매일 아이들을 붙잡았다. 왕은 귀신에게 자신이 난을 피하게 해주면 100국의 왕들에게 제사를 지내겠다고 약속했다. 경판으로 쓰일 재목은 30년~50년 정도 나이에 굵기가 40cm 이상 되는 산벚나무, 돌배나무 등 10여 종. 대장경에 쓸 나무는 글씨를 파기 쉽고 해충이 갉아먹는 것을 막아야 했다.


방과가 정종으로 즉위하고 아우 방원은 왕세제로 책봉되었다. 1400년에는 왕위계승을 두고 넷째 아들인 방간과 다섯째 아들인 방원이 대립하여 제2차 왕자의 난이 발발하였다. 두 차례의 왕자의 난을 통해 방원이 태종으로 즉위하였다. 라는 시조를 내어 정몽주 자신은 자신의 몸이 백번 천번 죽어도 고려의 왕만을 섬긴다는 것이 정몽주의 뜻이었다. 그래서 이방원은 정몽주가 있는 한 역성혁명을 이룰 수가 없다고 판단이 되자 자신의 수하 조영규와 고여 등을 시켜 밤중에 집에 돌아가는 정몽주를 쫓아가 선죽교에서 제거하였다. 여러 차례의 격전 끝에 마침내 함흥 평야에서 원 군대를 격퇴시켜 명성을 크게 떨쳤다.


그리하여 왕실의 외척으로서 정권을 추구하는 명문세족(名門世族)들이 나타났다. 고려에서 조선으로의 변화는 왕실과 왕조로서는 종말과 새로운 개창이었으나, 영토와 국민으로서는 연속이었으며, 고려 말 당시 국가 체제 안에 포괄된 지배층 내에서의 정권교체라는 성격을 강하게 갖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 정권 교체의 이면에서는 고려 후기 이후 광범한 사회 변동 속에서 암중모색되던 개혁이 확고한 방향을 잡고 새로운 체제를 구체화시키는 결실을 보고 있었다.


이것은 조선의 태조 李成桂가 壽昌宮에 지은 凉廳1219) 申榮勳,<朝鮮初 凉廳考>(≪건축역사연구≫ 1, 1992).을 닮은 마루깐 다락집이라 보이는데, 이 양루가 살림집에도 채택되었다고 생각된다. 고려시대 살림집터 발굴성과가 아직 축적되어 있지 않아 당시 생활을 엿볼 수 있는 자료는 아주 미약하다.1220) 평안북도 신의주시 위화도에서 1959년에 고려시대 집터가 발굴되었는데, 구들을 놓은 방의 흔적이 발견되었다. 또 그릇으로 사용하였다고 보이는 질그릇과 연장들이 같이 나왔다. 화려하거나 웅장한 규모는 아니다(서국태,<신의주시 상단리의 고려 집자리>,≪고고민속≫1, 1966).


동시에 이들 사림은 향촌에서 향약과 소학 등을 보급함으로써 지역적 기반을 다져놓기도 한다. 신라가 대동강 이남까지의 영토를 확립하고 고구려 유민이었던 대조영이 세운 발해가 고구려를 계승하여 남북국의 형세를 형성한 시기로, 남북국시대라 부르기도 한다. 백제(百濟)는 기원전 18년 온조에 의해 하남 위례성에 건국되었다. 백제는 3세기 경 충청도, 전라도 지역으로 세력을 확장해 나갔다. 927년 11월 후백제 견훤이 신라의 수도 금성을 급습하여 포석정에서 연회를 베풀며 놀고 있던 경애왕을 사로잡아 자살하게 하고, 경애왕의 이종사촌 동생인 김부를 왕위에 세우니 그가 경순왕이다. 경순왕은 재위 8년 동안 나라의 힘이 완전히 약해지고, 국토가 날로 줄어들어 나라를 제대로 이끌 형편이 되지 않았다.


말년의 장수왕은 정복 전쟁을 그만두고 내치에 힘썼으며, 중국과의 외교 관계도 계속 우호적으로 유지하여 안정을 구가하였다. 그리고 491년 음력 12월, 98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이 소식을 들은 북위 효문제는 특별히 직접 애도를 표했으며 관작을 추증하고 강왕(康王)이라 시호를 내렸다. 고국원왕을 추격한 전연군은 북쪽 길에서 고국원왕의 동생 무(武)의 군대를 만나 크게 패하여 퇴각하였다. 전연군은 퇴각하는 길에 고구려 백성 5만 명을 잡아갔다.


일본의 여론 조사에서는 ‘다케시마 섬은 일본의 영토라고 생각한다’라는 의견이 다수를 차지하며 일본 내부에서 ‘다케시마의 날’에 대해 비판하는 입장은 소수이다. 일본 언론도 2005년을 기점으로 섬에 대한 문제를 확대하여 영토 분쟁 지역으로 보도하고 있으며 시마네 현을 비롯한 주변의 현(県)이 연합하여 섬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아까 우리가 살펴본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은 입구가 매우 좁고 윗부분은 둥글고 넓으며 밑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모습을 하고 있어요. 매병은 흔히 매화 같은 것을 꽂았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지만 고려 시대에는 달랐어요. 술이나 차를 끓일 때 쓸 물을 담기도 했고 또 꿀과 참기름을 담는 용도로 사용되었다고 해요. 긴 핀의 일종인 비녀는 쪽진 머리를 꼽아 두는 역할을 하였으며 장식 용도로도 사용됐다.


904년에는 여러 관직을 설치하였는데, 일부 관직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신라의 제도를 따랐다. 이 때 나라 이름을 '고려'에서 마진(摩震)이라 하고 연호를 무태(武泰) 원년(元年)이라 하였다. 8월에는 궁예가 군사를 움직여 신라의 변방 고을을 침략하고 약탈하며 죽령(竹嶺) 동북쪽에까지 이르렀다. 신라 조정은 땅이 날로 줄어드는 것을 듣고 매우 걱정하였으나 힘으로 막을 수가 없어, 여러 성주(城主)들에게 명하여 나가서 싸우지 말고 성벽을 굳건히 하여 지키도록 하였다. 896년에는 7월 임진강을 따라 북상하여 당시 송악(松嶽; 지금의 개성)의 호족이었던 왕륭(왕건의 아버지)의 투항을 받았다.


1905년 이전에는 ‘마쓰시마’가 이 섬을 가리키는 말이고 울릉도를 ‘다케시마’라 불렀지만, 1905년 이후의 지도는 대부분 반대로, 곧 울릉도를 ‘마쓰시마’, 이 섬을 ‘다케시마’로 표기하고 있다. 당시 이 섬의 한국어 이름은 ‘석도(石島)’였고 전라도 출신의 울릉도 이주민들은 ‘독섬(호남 사투리로 ‘돌섬’이라는 뜻)’이라고 불렀다. 1870년에는 1869년 조선에 파견되었던 일본 외무성 관리 3명이 돌아와 일본 제국 정부에 〈조선국교제시말내탐서〉(朝鮮國交際始末內探書)를 제출하였다.

인천 op 인천 오피 인천오피 인천 오피

Report this page